mapa proyectos eee

벨기에 2018-2021년

METRO Brussels Lines 1 및 5, CAF 생산 예정 43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

  • 연기 감지기 및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
  • SIL2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

스페인 2017-2020년

EURO Dual 플랫폼 기관차 10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•  연기 감지기 및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
  • 에어로졸 소화제 발생기를 통한 소화 장치
  • 집중식 제어 장치 관리 시스템

영국 2018-2019년

West Midlands franchise의 지방 및 농촌 지역 서비스, CAF의 CIVITY 플랫폼 기반 80개 객차, 2량 디젤 열차 12대, 4량 디젤 열차 14대의 소화 설비.

  • 선형 열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AFFF(수성막포 소화약제) 화재 진압

멕시코 2017-2018년

METRO México City Line 1, CAF 생산 예정 10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•  연기 감지기 및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
  • 2-와이어 링 버스 신호 전송 기술과 아날로그값 전달 및 평가용 디지털 프로토콜을 통한 관리 시스템

파나마 2016-2018년

METRO Panama Line 2, ALSTOM 생산 21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5량).

  • 연기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E8CN 모듈 관리 시스템

아르헨티나 2016-2017년

SBASE(Subterráneos de Buenos Aires), ALSTOM 생산 60개 차량의 화재 감지 설비.

  • 캐빈 및 객실 내 광학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E8CN 모듈 관리 시스템

스페인 2005-2006년

RENFE, ALSTOM 생산 근거리 열차(3, 4, 5량) 122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•   캐빈, 객실 및 화장실 내 광학 감지기를 통한 감시

스페인 2005년

RENFE, CAF 및 ALSTOM 생산 S-104 고속철 20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4량).

  •  전기실 및 화장실 내 열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언더프레임 내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
  • 제동저항장치 내부의 온도 측정기

아일랜드 2004-2005년

Irishrail, CAF 생산 8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• 엔진실 내 FENWAL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언더프레임 연료 탱크실 내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
  • 엔진실 내 FM200 가스 감지기를 통한 소화 장치

영국 2003-2004년

Northern Ireland Railways (NIR), CAF 생산 23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•   화장실 내 광학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 언더프레임 엔진실 내 LHD 시스템을 통한 감시/span>
  • 언더프레임 엔진실 내 AFFF 소화 장치
Spain2000_2002

스페인 2000-2002년

Metro Madrid, ANSALDO 생산 37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6량).

  • 연기 흡입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객실 내 미분사 소화 장치
España 2000 2002

스페인 2000-2002년

Metro Madrid, ALSTOM 생산 19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3량).

  • 연기 흡입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객실 내 미분사 소화 장치
España20002002

스페인 2000-2002년

Metro Madrid, CAF 생산 54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3량).

  •   연기 흡입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• 객실 내 미분사 소화 장치
China 1996

중국 1996년

Hong Kong Subway, CAF 생산 33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  헝가리 1994년

    Hungarian Railways, CAF 생산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.

    • 광학 이온 감지기를 통한 감시
    • 엔진실 내부 소화 장치
    Reino Unido 1996

    영국 1994년

    Heathrow Express, CAF 생산 14개 차량의 화재 방지 설비(장치당 3량).

    • 이온 감지기를 통한 감시